
4대보험계산기
"월소득"을 입력하고 "근로자수"를 선택한 다음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국민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고용보험이 계산됩니다.
계산플러스 4대보험 계산방법은 보건 복지부 보도자료1, 보건 복지부 보도자료2 및 고용노동부 공식문서 참조하였습니다.
2025년 변경된 4대보험 요율 소개
2025년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 4대보험의 보험요율에 변경이 있었습니다. 국민연금은 기존에 비해 변동이 없으나, 건강보험 사업자와 근로자의 부담이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장기요양보험의 보험료율은 약간 상승했고, 고용보험은 변동이 없습니다. 상세한 요율 변동 사항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보험유형 | 2024년 | 2025년 | 증감률 |
---|---|---|---|
국민연금(사업자+근로자) | 9% | 9%(미정) | 0% |
건강보험(사업자+근로자) | 7.09% | 7.09% | 0% |
장기요양보험(사업자+근로자) | 12.95% | 12.95% | 1.1% |
고용보험(사업자+근로자) | 1.8% | 1.8% | 0% |
이러한 변경은 국민의 복지를 향상시키고, 보다 지속가능한 보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입니다.
4대보험 계산기 사용 방법
계산플러스 4대보험 계산기는 보험료를 편리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첫째, 근로자의 월 소득을 입력합니다. 여기서 월 소득이란 근로자가 받는 급여(세전)를 의미하며, 이는 보험료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둘째, 근로자 수를 선택합니다. 이는 고용보험료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드롭다운 메뉴에서 근로자 수에 해당하는 옵션을 선택해주세요. 옵션에는 '150인 미만', '150인 이상', '1,000인 이상',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포함됩니다.
셋째, 모든 정보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시스템이 즉시 근로자와 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4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를 각각 계산하여 보여줍니다. 결과는 표 형태로 제공되며, 각 보험별로 근로자부담액과 사업자부담액이 명시됩니다. 이렇게 간단한 세 단계를 통해 4대보험 보험료를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로, 누구나 쉽게 보험료를 계산할 수 있으며, 최신 보험 요율과 규정을 적용하여 정확한 계산 결과를 제공합니다.
4대보험 계산기 계산방법
입력된 근로소득(월소득)을 바탕으로 아래 제시된 근로자와 사업자의 부담요율을 곱하여 각 보험별 부담액을 계산합니다. 이떄 근로자의 월소득은 세전 급여를 의미하며, 보험료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추가로, 산재보험계산도 하고 싶다면 산재보험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2025년 근로자와 사업자의 사대 보험료 부담요율
그럼 2025년 근로자와 사업자의 근로자 부담은 어떻게 다를까요? 다음표를 확인해보세요!
보험유형 | 근로자 부담요율 | 사업자 부담요율 |
---|---|---|
국민연금 | 4.5% | 4.5% |
건강보험 | 3.495% | 3.49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 * 1.295% | 건강보험료 * 1.295% |
고용보험 | 0.9% | 0.9% + 고용안정* |
*사업주 부담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비용
구분 | 부담율 |
---|---|
150인 미만 기업 | 0.25% |
150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0.45% |
150인 이상 1,000인 미만 기업 | 0.65% |
1,000인 이상 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 0.85% |
4대 보험계산기는 위 요율을 토대로 계산을 하고 있으며, 근로자와 사업자의 부담을 명확하게 계산해줍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와 사업자가 부담해야 할 보험료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흔한 질문(FAQ)과 답변
Q: 4대보험 계산기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계산플러스에 접속하여 근로자의 월 소득과 근로자 수를 입력한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고용보험 등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Q: 4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하려면 어떤 정보를 입력해야 하나요? A: 근로자의 월 소득과 근로자 수를 입력하면 됩니다. 월 소득은 근로자가 받는 급여(세전)를 의미하며, 근로자 수는 고용보험료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Q: 2025년에 4대보험 요율은 어떻게 되나요?
A: 다음표 2025년 4대보험 요율을 보여줍니다.
보험유형 | 근로자 부담요율 | 사업자 부담요율 |
---|---|---|
국민연금 | 4.5% | 4.5% |
건강보험 | 3.495% | 3.495% |
장기요양보험 | 1.295% | 1.295% + 고용안정* |
고용보험 | 0.9% | 0.9% |
Q: 4대보험 계산방법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A: 월소득에서 각 보험요율을 곱하여 근로자와 사업자의 부담액을 계산합니다.
이러한 질문과 답변을 통해 4대보험 요율 변경과 계산기 사용에 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공식 웹사이트
-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공식 자료를 통해 4대보험 요율 변경 및 관련 정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 공식 웹사이트
- 국민연금공단 웹사이트에서 국민연금 요율 및 상한액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웹사이트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 및 장기요양보험의 요율 변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공단 공식 웹사이트
-
근로복지공단에서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요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